본문 바로가기
하나님은...?

🙏 기도는 누구에게 하나요?

by 김강패 2025. 4. 13.
728x90
반응형

📚 기독교와 천주교의 기도 차이, 성모 마리아 공경과 중보기도의 의미


🌱 머리말

“기도는 하나님께 하는 거 아닌가요?”
“근데 성당 다니는 분들은 왜 마리아에게 기도하죠?”
“그럼 하나님보다 마리아를 더 믿는 거예요?”

같은 하나님을 믿는 기독교와 천주교.
그런데 ‘기도’의 방식은 참 다르게 보이죠.

오늘은 그 차이를
❓ 누구에게 기도하느냐
❓ 왜 중보기도를 하느냐
❓ 성모 마리아에게 기도한다는 건 무슨 의미냐
정확하고 따뜻하게 풀어드립니다.


1️⃣ 기도, 기본적으로는 누구에게 하나요?

종파 기도 대상
기독교(개신교) 하나님(성부), 예수님(성자), 성령 – 삼위일체 하나님께 직접
천주교(가톨릭) 하느님께 기도함 (삼위일체), + 성모 마리아·성인들에게 전구(기도 요청)

📌 중요한 차이점

  • 개신교: “직접” 하나님께 기도
  • 천주교: 하느님께 기도하면서,
    마리아나 성인에게 ‘함께 기도해 주세요’라고 부탁 (= 전구)

2️⃣ 중보기도란 무엇인가요?

📖 중보기도란?

  • 다른 사람을 위해 대신 기도해주는 것
  • “하나님, 제 친구 ○○의 아픔을 위로해주세요” 같은 기도도 중보기도입니다.

✅ 개신교와 천주교의 차이

구분 개신교 천주교
중보기도 살아있는 신자끼리 서로 중보 가능 살아있는 사람 + 이미 천국에 있는 성인에게도 요청 가능
기도 대상 하나님께 직접 하느님께, 성인에게 ‘기도 요청’ 가능
대표 예 “엄마가 날 위해 기도해줘” “성모 마리아님, 저와 함께 기도해주세요”

📝 천주교에서는 이것을 **‘전구’**라고 표현합니다.
→ 성인(하늘에 있는 이들)에게 “저를 위해 하느님께 전해주세요” 라는 뜻이에요.


3️⃣ 성모 마리아에게 기도한다는 건?

❗ 마리아를 ‘숭배’하는 게 아닙니다

천주교는 하느님 외에는 예배하지 않습니다.
성모 마리아는 예수님의 어머니로서 가장 성스럽고 순결한 신앙의 본보기로서
공경(veneration)의 대상이지, 경배(worship)의 대상은 아닙니다.

표현 의미 개신교 입장 천주교 입장
경배 예배, 오직 하나님께 O O
공경 존경, 본받음 일부 인정, 마리아 기도는 하지 않음 O (특별한 위치로 기념)
전구 중보기도 요청 주로 살아 있는 신자끼리 성인에게도 요청 가능

4️⃣ 자주 묻는 질문 (FAQ)

❓ Q. 성모 마리아에게 기도하면 하나님보다 마리아를 더 믿는 건가요?

🅰️ 아니요.
천주교 신자도 오직 하느님만이 전능하신 분임을 믿습니다.
다만 마리아를 신앙의 모범, 어머니, 중보자로서 공경하며 기도 요청하는 것입니다.


❓ Q. 개신교도 중보기도를 안 하나요?

🅰️ 해요!
예배나 기도 모임에서 서로를 위해 기도하는 건 아주 흔한 일입니다.
차이는 **“이미 세상을 떠난 성인에게도 기도를 요청하느냐”**에 있어요.


❓ Q. 그럼 마리아 기도는 성경에 나오는 건가요?

🅰️ 직접적인 명령은 없지만,
천주교는 전통과 공의회를 통해
마리아의 삶과 역할을 깊이 기념하고 신앙 안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 마무리하며

기도는 하나님과 나의 관계에서 시작되지만,
서로를 위해 기도하고,
믿음의 선배에게 기도를 부탁하는 문화도
오랜 신앙 전통에서 나왔습니다.

기독교(개신교)는 하나님께 직접 기도하는 걸 강조하고,
천주교는 마리아와 성인에게 전구를 요청하며
더 풍성한 신앙의 연결을 경험하려 합니다.

다르다고 틀린 게 아니고,
그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
그것이 서로를 향한 아름다운 신앙의 태도 아닐까요? 😊

 

 

📌 다음 편 예고:
[4편] 교회와 성당, 공간도 신앙을 말한다 — 구조와 예배 환경의 차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