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건축허가 도면에 없던 우수설비, 추가해야 할까?
"도면대로만 해도 된다는데,
그런데 시공사에서는 우수배관과 우수맨홀을 추가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정말 해야 할까요? 안 해도 되는 걸까요?"
📌 지금 내 상황 요약
- ✅ 기존 집 철거 후 신축 중
- ✅ 약 70cm 성토가 된 상태
- ✅ 건축허가 도면상엔 우수맨홀, 우수배관 없음
- ✅ 설계상 자연낙수 처리로 되어 있음
- ❗ 그런데 시공사에서 우수배관 342만 원, 우수맨홀 72만 원 견적을 추가 제안
✅ 설계 도면대로 시공하면 우수 설비는 필수는 아닙니다
현재 도면은 자연낙수로 설계되어 있어
우수맨홀이나 배관 없이도 법적으로 문제가 없고,
설계 변경 없이 시공도 가능합니다.
즉, 도면을 그대로 따르면, 아무런 행정상 문제 없이 집은 완공됩니다.
⚠️ 그런데도 왜 시공사는 우수 설비를 추가하자고 할까요?
이제 중요한 부분입니다.
바로 "현장의 실제 상황" 때문이에요.
설계도면은 기본적인 시나리오로 설계되지만,
현장은 다음과 같은 리스크가 있습니다.
현실 조건 | 의미 |
성토 70cm 이상 | 물 빠짐에 취약할 수 있음 |
주변 지형·경사 차이 | 낙수 방향이 달라질 수 있음 |
장마철 집중호우 | 물 고임 → 습기 → 기초 침하 우려 |
배수 경로가 명확하지 않음 | 추후 하자 발생 시 책임 소재 불명확 |
💬 즉, 지금 이 판단은 **“예방 공사냐, 사후 대처냐”**의 문제입니다.
🛠️ 시공사가 제시한 견적, 적정할까?
항목 | 내용 단가 | 비교 |
우수배관 D150 | 57m × 60,000원 | 🔎 시장 평균 자재비 약 58,550원 + 시공비 포함 → 적정 수준 |
우수맨홀 410×510 | 4개소 × 180,000원 | 🔎 시장 자재 단가 약 98,000원 → 설치비 포함 시 적절 |
✅ 즉, 폭리 수준은 아니고 시공·운반·설치 포함해 적절한 범위 내로 판단됩니다.
🧭 지금 건축주가 체크해야 할 것들
“나와 같은 상황이라면, 어떤 걸 꼭 확인해야 할까?”
체크 항목 | 설명 |
🗂️ 설계도에 우수 관련 기재 있음? | 없다면 자연낙수 설계 |
📍 현장에 성토, 배수 방향 변화 있음? | 있다면 물 고임 우려 ↑ |
🔧 공공 우수관 연결 가능 여부 | 없다면 자체 배수계획 필요 |
📝 시공사 견적, 단가 적정성 | ✔ 검토 결과 적정 수준 |
🏛️ 추가 시 설계변경 여부 | 건축사 확인 필수! 경우에 따라 변경 없음 |
🧾 정리하면, 이렇게 생각하시면 됩니다
- 도면대로 시공해도 문제는 없다
- 하지만 물빠짐 불량, 기초 침하, 하자 우려는 실현될 수 있다
- 지금 3~400만 원 아끼는 대신,
추후 수백만 원 수리비나 구조 보강을 할 수도 있다
✅ "합리적인 예방 비용"으로 생각하는 게 핵심입니다.
🗣️ 전문가가 남기는 마지막 조언 한마디
집을 짓는 과정은 선택의 연속입니다.
하나하나의 판단이, 10년 후에도 안심할 수 있는 집을 만듭니다.🧱 지금 이 시점에서,
✔️ “설계는 법적 기준”
✔️ “현장은 실질 기준”
을 구분해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 건축주의 선택을 위한 한 문장
✅ "지금의 선택은, 미래의 비용을 줄이는 보험이 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